Per ardua ad astra !
I'm On My Way
Per ardua ad astra !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26)
    • Algorithm (50)
      • 백준 (30)
      • SWEA (3)
      • JUNGOL (3)
      • Programmers (5)
      • LeetCode (2)
    • 안드로이드 개발 (6)
      • Java로 개발 (0)
      • Kotlin으로 개발 (3)
    • Spring (41)
      • Spring기본 (17)
      • JPA기본 (15)
      • JPA활용 SpringBoot 기본 (9)
      • API 개발 기본 (0)
    • 네트워크 (3)
    • 운영체제 (0)
    • Life (3)
      • 책 (0)
      • 자기계발 (1)
      • 일상 (2)
    • 노마드코더 (3)
      • python으로 웹 스크래퍼 만들기 (3)
    • 프로그래밍 언어 (17)
      • Java 기본 (2)
      • 코틀린 기본 (15)

블로그 메뉴

  • 홈
  • 방명록

인기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Per ardua ad astra !

I'm On My Way

Algorithm/백준

[Java] BaekJoon 11559. PuyoPuyo (골드5) (Simulation) (BFS)

2021. 8. 21. 17:08

문제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11559

 

11559번: Puyo Puyo

총 12개의 줄에 필드의 정보가 주어지며, 각 줄에는 6개의 문자가 있다. 이때 .은 빈공간이고 .이 아닌것은 각각의 색깔의 뿌요를 나타낸다. R은 빨강, G는 초록, B는 파랑, P는 보라, Y는 노랑이다.

www.acmicpc.net

 

문제이해

목표

핸드폰에서 했던 플레시 게임과 비슷하다. 

필드에 여러 가지 색깔의 뿌요를 놓는다. 뿌요는 중력의 영향을 받아 아래에 바닥이나 다른 뿌요가 나올 때까지 아래로 떨어진다.
뿌요를 놓고 난 후, 같은 색 뿌요가 4개 이상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있으면 연결된 같은 색 뿌요들이 한꺼번에 없어진다. 이때 1연쇄가 시작된다.
뿌요들이 없어지고 나서 위에 다른 뿌요들이 있다면, 역시 중력의 영향을 받아 차례대로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아래로 떨어지고 나서 다시 같은 색의 뿌요들이 4개 이상 모이게 되면 또 터지게 되는데, 터진 후 뿌요들이 내려오고 다시 터짐을 반복할 때마다 1연쇄씩 늘어난다.
터질 수 있는 뿌요가 여러 그룹이 있다면 동시에 터져야 하고 여러 그룹이 터지더라도 한번의 연쇄가 추가된다.

현재 주어진 상황에서 몇 연쇄가 되는지 출력한다. 

 

풀이

1. 방문하지 않았던 알파벳을 찾는다.

  -> bfs 진행 (방문한 곳은 visited 처리한다)

   - bfs결과, 탐색한 노드(count) >= 4 이면 제거해야할 대상이므로 지금까지 방문했던 노드를 기억하는

     arrayList에서 꺼내서 해당 자리 값을 '0'으로 바꿔준다.  

 

2. 탐색이 끝났으면 제거 대상인 '0'을 제거하는데, LinkedList를 이용한다

   (1) 콜럼 한줄 한줄을 LinkedList에 복사

   (2) 제거할 때, remove로 제거하고 뒤에는 '.'를 추가해줘야 한다.

   (3) 복사했던 콜럼줄에 작업을 처리한 LinkedList를 고대로 끼워넣음


 소스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public class PuyoPuyo {
    static int[] dr = {1, -1, 0, 0};
    static int[] dc = {0, 0, -1, 1};
    static int count = 0;

    static class Pair {
        int row;
        int col;

        public Pair(int row, int col) {
            this.row = row;
            this.col = col;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char[][] map = new char[12][6];
        for (int row = 0; row < 12; row++) {
            String str = br.readLine();
            for (int col = 0; col < 6; col++) {
                map[row][col] = str.charAt(col);
            }
        }

        Queue<Pair> queue = new LinkedList<>();
        ArrayList<Pair> arrayList = new ArrayList<Pair>();
        boolean check = true;
        int answer = 0;
        while (check) {
            check = false;
            boolean[][] visited = new boolean[12][6];
            for (int row = 0; row < 12; row++) {
                for (int col = 0; col < 6; col++) {
                    if (map[row][col] != '.' && !visited[row][col]) {
                        count = 1;
                        arrayList.clear();
                        queue.add(new Pair(row, col));
                        arrayList.add(new Pair(row, col));
                        visited[row][col] = true;
                        while (!queue.isEmpty()) {
                            Pair pair = queue.poll();
                            for (int i = 0; i < 4; i++) {
                                int tr = dr[i] + pair.row;
                                int tc = dc[i] + pair.col;
                                if (tr >= 0 && tc >= 0 && tr < 12 && tc < 6
                                        && !visited[tr][tc] && map[pair.row][pair.col] == map[tr][tc]) {
                                    count++;
                                    visited[tr][tc] = true;
                                    queue.add(new Pair(tr, tc));
                                    arrayList.add(new Pair(tr, tc));
                                }
                            }
                        }
                        if (count >= 4) { // 폭발해야되는 것으로 인식시켜주기
                            for (Pair pair : arrayList) {
                                map[pair.row][pair.col] = '0';
                            }
                            check = true;
                        }
                    }
                }
            }
            if(!check){
                break;
            }
            // 당겨주기
            for (int i = 0; i < 6; i++) {
                LinkedList<Character> linkedList = new LinkedList<>();
                for (int j = 11; j >= 0; j--) {
                    linkedList.add(map[j][i]);
                }
                for (int j = 0; j < 12; j++) {
                    if(linkedList.get(j) == '0'){
                        linkedList.remove(j--);
                        linkedList.add('.');
                    }
                }
                int k = 0;
                for (int j = 11; j >= 0; j--) {
                    map[k++][i] = linkedList.get(j);
                }
            }
            answer++;
        }
        System.out.println(answer);
    }
}

개선전략

처음엔 없앨 노드를 map에서 '0'로 바꿔주는 방법이 아닌 boolean explode[][]를 만들어 자리를 기억했다가 터트렸다. 또 같은 크기의 2차원 배열을 만드는 코드이고, 더 복잡함으로 좋지 않은 코드였다.

=> 가능한 주어진 배열 map에서 체크할 수 있는건 체크하도록 하는편이 좋겠다. 

 

 

 

    'Algorithm/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 BaekJoon 2176. 합리적인 이동경로(골드2) (Dijkstra,DP)
    • [Java] BaekJoon 11058. 크리보드 (골드5) (DP)
    • [Java] BaekJoon 12026. BOJ 거리 (실버1) (DP)
    • [Java] BaekJoon 1197. 최소 스패닝 트리 (java) (Kruskal) (union-find)
    Per ardua ad astra !
    Per ardua ad astra !
    개발자 지망생이며 열심히 공부하고 기억하기 위한 블로그입니다.

    티스토리툴바